ComputerScience
![[10분 CS지식] IP](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IIM5h%2FbtrAh7pXSDx%2FAAAAAAAAAAAAAAAAAAAAANIuosoZ7i4Vho4y48imThtCDQT6N4CorrFsv9UpfsKv%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DqXUb%252Bkfz6abPUQynv1AzbIG6hg%253D)
[10분 CS지식] IP
인터넷 프로토콜이라고도 하고 IP 프로토콜이라고도 하는 것. 복잡한 인터넷망에서 최소한의 규칙이 있어야하기 때문에 만들어졌습니다. 가장 먼저 IP주소라는 것을 각각 부여받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이 주소는 보내는 사람(출발지 IP)과 받는 사람(도착지 IP)이 각각 부여받아서 있어야 하며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통신을 하게 됩니다. IP 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 -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 패킷 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여기서 IP 패킷에 대해서 알아보면 패킷은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전송 데이터를 보낼 때 한 개의 패킷 묶음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묶음의 구성에서 꼭 필요한 것은 출발지 IP, 목적지 IP, 기타... 와 전송 데이터가 함께 구..
![[10분 CS지식]OSI 7계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RvWRk%2Fbtrz3mmUrho%2FAAAAAAAAAAAAAAAAAAAAAJO3OwtlnBJTEbhnZHBZGg340zedjZCzWugpsHqX2Zn0%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etjGCMdhC2dm9PHpUM9rTUWCGSY%253D)
[10분 CS지식]OSI 7계층
OSI 모델이란? OSI 표준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된 계층구조를 갖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OSI 7 계층 참조모델이라 불린다. OSI계층 모델의 기본적인 목적은 다양한 표준화와 관련된 기본 골격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OSI 모델이 제공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많은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나오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과 정보처리 작업을 해당 시스템의 사양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할 수 있게 되었다. OSI 7 계층을 각각 나열해보면서 간단하게 개념을 잡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응용 프로세스를 직접 사용하여 직접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 http ftp smtp 과 같은 프로토콜들이 있는 계층을 뜻함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

암호화폐란?
요즘 주식과 함께 투자의 대상으로 떠올랐던 코인이 주춤하고 코인 거래소 37곳이 내일 폐업한다는 내용의 뉴스를 보면서 암호화폐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위의 개요에 나와있는 것과 같이 암호화폐는 말 그대로 암호화된 통화로써 가상화폐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현재 물건을 사고파는 것에 이미 인터넷을 이용한 여러 거래 수단에 익숙하고 인터넷 뱅킹 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은 말 그대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실제 화폐를 주고받는 과정을 생략하고 거래를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생활의 변화가 실제로 실물로 구현이 되어있지 않은 가상의 화폐에 대한 개념을 받아들이기 쉬워졌습니다.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인식의 변화가 쉬워진 것에 발맞추어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고 2020년도에는 코인의 가치..

도메인이란?
도메인은 인터넷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문자의 형태로 나타내어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이름을 설정해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을 해서 IP주소가 123.12.11.11의 이름으로 되어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것을 기억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해당 내용의 주소가 네이버의 주소라고 했을 때 네이버를 치면 네임서버에서 네이버 = 123.12.11.11의 내용을 찾아서 사용자가 네이버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장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도메인 또는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넓게 보면 외우거나 식별하기 어려운 IP 주소(예:240.10.20.1)를 example.com처럼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을 의미하지만, 보통 루트 네임 서버(최상위 DNS 서버이며..
![[10분 CS지식] TCP와 UDP 의 차이점 정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NvhRN%2Fbtrftm2guSk%2FAAAAAAAAAAAAAAAAAAAAAAaShqEYmLeQXZGTY8Pz6qsJUN6Wrio-gnSYKnejqDPe%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H0LEkPBSffBwxeplS7gxk%252BGdo9g%253D)
[10분 CS지식] TCP와 UDP 의 차이점 정리
통신에 관련된 이야기를 들을 때 TCP와 UDP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대표적인 경우에는 게임을 할 때 UDP 통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오늘은 이런 TCP와 UDP의 차이를 간단한 표로 정리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TCP와 UDP 통신에 대한 개념을 간단한 표로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 서비스입니다. Hand shake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헤더를 포함하고 있어 안정적이고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데이터의 교환을 하나하나 체크하고 보내는 과..

왜? 하이퍼링크는 파란색 일까?
HTML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태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람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많은 태그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태그 중 하나인 앵커 태그는 문자에 링크를 걸어서 필요한 위치로 바로 갈 수 있게 해주는 태그입니다. 그런데 이런 링크가 되어있는 하이퍼링크를 보면 언제나 파란색에 밑줄 그어진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다른 색깔도 많은데 이 하이퍼링크는 파란색으로 표시가 될까요? 이것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하이퍼링크의 색깔이 정해진 것에 대한 이야기는 두 가지의 가설이 있습니다. 1. 첫 번째 가설은 사용자가 색맹이어서 글자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입니다. 하이퍼링크를 처음 사용한 웹브라우저의 모습을 보면 배경의 색은 회색이고 글자의 기본 색깔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