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_나그네
12시 지난 새벽
새벽_나그네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TIL
    • DevLog
    • Algorithm
    • ComputerScience
    • etc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내일배움카드
  • 내일배움캠프
  • 국비지원
  • portfolio
  • 코린이
  • Python
  • 자기주도학습
  • 내일배움단
  • 스파르타코딩클럽
  • docker
  • 코딩프로젝트
  • machine learning
  • 프로그래머스
  • AI트랙
  • TodayILearned
  • 코딩
  • Selenium 4
  • Github
  • 개발일지
  • til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새벽_나그네

12시 지난 새벽

[10분 CS지식]OSI 7계층
ComputerScience

[10분 CS지식]OSI 7계층

2022. 4. 21. 01:27

OSI7계층

OSI 모델이란?

OSI 표준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된 계층구조를 갖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OSI 7 계층 참조모델이라 불린다. OSI계층 모델의 기본적인 목적은 다양한 표준화와 관련된 기본 골격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OSI 모델이 제공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많은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나오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과 정보처리 작업을 해당 시스템의 사양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할 수 있게 되었다.

 

OSI 7 계층을 각각 나열해보면서 간단하게 개념을 잡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OSI MODEL과 TCP./IP MODEL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응용 프로세스를 직접 사용하여 직접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 http ftp smtp 과 같은 프로토콜들이 있는 계층을 뜻함 
 
암호화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압축 그리고 데이터 암호화가 이루어짐
서로 다른 통신 기기간에 다른 인코딩을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계층에서 데이터 변환이 이루어 짐
 
 
세션계층은 세션을 열고 닫고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계층이며 세션 복구도 지원함
세션 복구는 체크포인트라는 것을 이용하며 복구를 하는데 쉽게 말해서 엄청 큰 데이터를 보내거나 할때 그 데이터를 쪼개는 복구 단위를 설정하면 무엇인가 예측 못한 오류로 인해서 복구가 필요할때 복구 단위만큼만 전으로 돌아가서 통신을 재개할 수 있는 기능
 
흐름제어

 

트랜스포트 계층은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 간의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으로써 세그멘테이션, 흐름제어 그리고 오류제어등을 제공함
  세그멘테이션이란, 상위계층 데이터를 받아서 세그먼트라는 데이터 단위로 나누는 것을 의미함 이런 작업을 하는 이유는 비디오를 볼수 있게 하는 데이터 통신을 예로 들었을때 1기가의 동영상을 보내고 받아서 실행해야하는 경우에 세그멘테이션이 되어있지 않다면 1기가가 다 전송되고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겠지만 이렇게 세그멘테이션이 되어있다면 그 중간에도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사용자의 원하는 경험에 더 적합하며 문제가 생겼을때도 큰 단위로 손실이 일어나기에 리스크 관리의 시점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음
  - 흐름제어는 받는기기의 성능에 따라 가변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속도를 조절해주는 것을 의미함
  - 오류제어는 데이터 전송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에 오류가 있다면 데이터를 다시 보내주는 것을 의미함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분들이 다들 잘 아실 ip 나 라우터 장비 가 속한 계층이며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함
호스트 에다가 ip 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도착지 ip 까지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런 것을 라우팅 이라고 부름
 
데이터 링크의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과 비슷함
차이점은 네트워크 계층은 서로다른 두 네트워크간의 전송을 담당한다고 한다면 데이터 링크 계층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전송을 담당함
 
   - 데이터링크 계층과 트랜스포트 계층의 오류제어 기법의 다른점
오류제어를 할때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는 오류가 난것을 다시보내고 받는것으로 오류제어를 하지만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오류가 있는 Frame을 그냥 버려버리는 방식으로 오류제어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물리계층에서는 이런 비트로 표현된 데이터 값을 전기 신호로 변환을 해 주고 전송을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Computer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분 CS지식] PORT  (0) 2022.04.24
[10분 CS지식] IP  (0) 2022.04.24
암호화폐란?  (0) 2021.09.24
도메인이란?  (0) 2021.09.22
[10분 CS지식] TCP와 UDP 의 차이점 정리  (0) 2021.09.19
    'Computer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분 CS지식] PORT
    • [10분 CS지식] IP
    • 암호화폐란?
    • 도메인이란?
    새벽_나그네
    새벽_나그네
    IT, 프로그래밍, 정보, 스마트스토어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