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_나그네
12시 지난 새벽
새벽_나그네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TIL
    • DevLog
    • Algorithm
    • ComputerScience
    • etc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TodayILearned
  • 내일배움캠프
  • AI트랙
  • 코딩
  • 내일배움카드
  • portfolio
  • 코딩프로젝트
  • Github
  • 국비지원
  • Python
  • 프로그래머스
  • machine learning
  • Selenium 4
  • 자기주도학습
  • til
  • 스파르타코딩클럽
  • 내일배움단
  • docker
  • 개발일지
  • 코린이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새벽_나그네
Algorithm

[백준_2667] 단지번호붙이기

[백준_2667] 단지번호붙이기
Algorithm

[백준_2667] 단지번호붙이기

2022. 6. 8. 23:17

문제 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

www.acmicpc.net

문제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 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 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 혹은 1)가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풀이 과정

1. 일단 입력 값은 2중 배열로 만들어서 저장을 하고 시작한다.

2. cnt를 2로 만들어 놓은 이유는 1을 집의 묶음으로 생각해야 하기에 1을 피한 2를 변수의 시작으로 설정한다.

3. 빌딩 카운트와 같은 값을 만나게 되면 1 증가 시켜서 빌딩 카운트를 세팅한다.

4. 탐색하는 숫자를 기준으로 모든 방향에서 1이 있는지 확인하고 준비한 빌딩 카운트와 치환을 해준다.

5. 마지막으로는 치환한 숫자의 개수와 숫자의 수를 세어줄 수 있게 한다.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 for input
aparts = []  # for input

for i in range(n):
    apart = sys.stdin.readline().split("\n")[0]

    aparts.append([int(apart[i:i + 1]) for i in range(0, len(apart), 1)])

cnt = 2  # count of building
buildings = {}  # dp


def makebuildings(i, j, cnt):
    global n, aparts, buildings

    # make note to itself
    if aparts[i][j] != cnt:
        aparts[i][j] = cnt
        buildings[cnt] += 1

    # see up
    if i > 0 and aparts[i - 1][j] == 1:  # if it's 1 upper
        aparts[i - 1][j] = cnt
        buildings[cnt] += 1

        makebuildings(i - 1, j, cnt)  # recursion

    # see down
    if i < n - 1 and aparts[i + 1][j] == 1:  # if it's 1 below
        aparts[i + 1][j] = cnt
        buildings[cnt] += 1

        makebuildings(i + 1, j, cnt)  # recursion

    # see left
    if j > 0 and aparts[i][j - 1] == 1:  # if it's 1 left
        aparts[i][j - 1] = cnt
        buildings[cnt] += 1

        makebuildings(i, j - 1, cnt)  # recursion

    # see right
    if j < n - 1 and aparts[i][j + 1] == 1:  # if it's 1 right
        aparts[i][j + 1] = cnt
        buildings[cnt] += 1

        makebuildings(i, j + 1, cnt)  # recursio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aparts[i][j] == 1:
            buildings[cnt] = 0  # 2:0, 3:0, 4:0, ...
            makebuildings(i, j, cnt)  # all jobs will be handled in function

            # showBuilding()  # see how things going on

            cnt += 1

print(cnt - 2)  # cnt started from 2
values = list(buildings.values())  # get values from dict
values.sort()  # ascending

for v in values:
    print(v)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_11053]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0) 2022.06.10
[백준_7576] 토마토  (0) 2022.06.09
[백준_1927] 최소 힙  (0) 2022.06.07
[백준_18081]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0) 2022.06.07
[백준_10809] 알파벳 찾기  (0) 2022.06.06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_11053]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 [백준_7576] 토마토
    • [백준_1927] 최소 힙
    • [백준_18081]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새벽_나그네
    새벽_나그네
    IT, 프로그래밍, 정보, 스마트스토어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