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_나그네
12시 지난 새벽
새벽_나그네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TIL
    • DevLog
    • Algorithm
    • ComputerScience
    • etc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자기주도학습
  • machine learning
  • 내일배움단
  • docker
  • 국비지원
  • AI트랙
  • Github
  • 내일배움캠프
  • 스파르타코딩클럽
  • 코딩
  • TodayILearned
  • til
  • 내일배움카드
  • Selenium 4
  • portfolio
  • 개발일지
  • 코딩프로젝트
  • 코린이
  • 프로그래머스
  • Python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새벽_나그네

12시 지난 새벽

Algorithm

[백준_1021] 회전하는 큐

2022. 5. 2. 23:27

문제 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021https://www.acmicpc.net/problem/1021

 

1021번: 회전하는 큐

첫째 줄에 큐의 크기 N과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개수 M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위치가

www.acmicpc.net

문제

지민이는 N개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양방향 순환 큐를 가지고 있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몇 개의 원소를 뽑아내려고 한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1. 첫 번째 원소를 뽑아낸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원래 큐의 원소가 a1, ..., ak이었던 것이 a2, ..., ak와 같이 된다.
  2. 왼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2, ..., ak, a1이 된다.
  3.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k, a1, ..., ak-1이 된다.

큐에 처음에 포함되어 있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원소의 위치가 주어진다. (이 위치는 가장 처음 큐에서의 위치이다.) 이때, 그 원소를 주어진 순서대로 뽑아내는데 드는 2번, 3번 연산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큐의 크기 N과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개수 M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위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위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새로 사용한 함수

1. deque() : 디큐 형식을 만들어 주는 함수

2. popleft() 스택을 만들때 사용했던 pop이 오른쪽에서 값을 하나씩 뽑았다고 생각하면 이것은 왼쪽에서 뽑는것

3. appendleft() 스택을 만들때 사용했던 append가 오른쪽에서 값을 하나씩 뽑았다고 생각하면 이것은 왼쪽에서 뽑는것

 

풀이 과정

디큐 함수를 이용하여 문제에서 제시했던 제약조건과 똑같이 조건문을 작성한다.

인덱스 값을 하나 찾아낼때마다 while문을 돌리면서 몇번이 걸리는지 계속 찾는 방식으로 진행 큐의 첫번째 값과 인덱스 값이 같아지면 하나의 인덱스 값을 찾았다고 생각하면서 모든 수를 찾고 올라간 카운트를 출력하여 나타낸다.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idxs = list(map(int, input().split()))
queue = deque([i for i in range(1, n+1)])

count = 0
for idx in idxs:
    while True:
        if queue[0] == idx:
            queue.popleft()
            break
        else:
            if queue.index(idx) < len(queue)/2:
                while queue[0] != idx:
                    queue.append(queue.popleft())
                    count += 1
            else:
                while queue[0] != idx:
                    queue.appendleft(queue.pop())
                    count += 1
print(count)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_4949] 균형잡힌 세상  (0) 2022.05.04
[백준_1010] 다리 놓기  (0) 2022.05.03
[백준_11050] 이항 계수 1  (0) 2022.05.01
[백준_1934] 최소공배수  (0) 2022.04.30
[백준_9012] 괄호  (0) 2022.04.29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_4949] 균형잡힌 세상
    • [백준_1010] 다리 놓기
    • [백준_11050] 이항 계수 1
    • [백준_1934] 최소공배수
    새벽_나그네
    새벽_나그네
    IT, 프로그래밍, 정보, 스마트스토어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