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에서 발생하는 에러 Docker에 Nginx를 붙였는지 아닌지 등의 대화가 오고 갈 때마다 Nginx가 무엇인지 정도의 느낌만을 갖고 있었지만 제대로 정리해본 적이 없기에 정리의 기록을 남깁니다.
NGINX는 차세대 웹서버라고 불립니다. 기존 세대의 웹서버라고 한다면 Apache가 있는데 이 Apacher의 독주에 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NGINX의 특징은 한마디로 정의했을 때 "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빠르게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참고 생활코딩 : https://opentutorials.org/module/384/3462
NGINX 소개 - NGINX
Web 웹이란 World Wide Web의 약자로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 체계 위에서 동작하는 통신 규약 중의 하나다. 아래의 그림은 인터넷과 웹의 관계를 보여준다. 웹이 인터넷과 같은 의미처럼 사용된 이유
opentutorials.org
위의 내용에서 웹서버 라는 말에 집중해볼 필요가 있는데 웹서버라는 단어를 보게 되면 웹 + 서버의 합성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웹은 World Wide Web의 약자로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는 통신 규약 중의 하나입니다. 솔직히 필자는 Web과 인터넷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는 했는데 인터넷 안에 WEB이 있는 구조를 기억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위에 내용을 보게 된다면 WEB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은 정리가 되었는데 왜 그냥 웹이라고만 하지 않고 서버라는 말이 붙었는지 생각해본다면 여기서의 서버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라고 부르는 그 클라이언트에 상반되는 개념인 서버가 맞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하는 쪽이고 서버는 정보를 제공하는 쪽입니다. 이것의 구분은 머신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분이 있는 것이 아니고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인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있다면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고 서버 소프트웨어인 웹서버가 설치되어있다면 서버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웹과 서버의 의미 이 내용을 합쳐서 웹서버의 의미를 끝낸 상태에서 다시 제일 위의 NGINX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요약한다면 " "NGINX는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더적은 자원으로 더 빠르게 데이터 서비스할 수 있는 차세대 웹서버"라고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설명을 하면 Nginx는 경량 웹서버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았을때 이에대한 정적파일을 응답해주는 HTTP Web Server의 역할로 사용되기도 하고 Reverse Proxy Server를 이용하여 로드밸런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Computer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분지식] Shell (0) | 2023.04.19 |
---|---|
[3분 지식] WAS 란? - WEB server와 WAS (0) | 2022.08.11 |
[3분 CS지식] Immutable과 Mutable (0) | 2022.06.08 |
[3분 CS지식] CORS (0) | 2022.05.18 |
[10분 CS지식] Hoisting ( const, var, let ) (0) | 2022.04.29 |